출처 :: 교육청

e서울교육소식 RSS 서비스 제공
˝내가 원하는 교육소식˝ 이젠 바로 확인한다
서울특별시교육청에서는 e서울교육소식 홈페이지에서 RSS서비스를 시작하였다. RSS서비스를 이용하면 홈페이지에 접속하지 않고도 e서울교육소식에서 제공하는 교육관련 최신 기사, 서울교육정책 등의 교육관련뉴스, 공부비법이나 문화/강좌 등의 교육정보, 각 기관의 소식들을 바로 확인할 수 있다.

e서울교육소식의 RSS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RSS리더기가 있어야 한다. RSS리더기는 '연모', 'Xpyder' 등의 설치형과 '한RSS', '다음 RSS'과 같이 웹기반 리더서비스도 있다.  인터넷 익스플로러 7.0부터는 RSS를 지원하기 때문에 별도의 프로그램을 설치할 필요가 없다.

RSS 서비스를 이용하는 방법은 간단하다. 아래의 e서울교육소식 RSS 서비스에 나와 있는 주소를 RSS 리더기에 채널로 등록하면 된다. 익스플로러 7.0을 사용한다면 e서울교육소식 (http://news.sen.go.kr ) 로 접속하여 브라우저 오른쪽 상단의 를 클릭하여 피드를 추가하거나 브라우저의 주소창에 아래 원하는 정보의 주소를 입력하면 된다.

e서울교육소식 RSS 서비스 [홈페이지에서 보기]
전체기사
http://news.sen.go.kr/rss/rss2.0.html

교육뉴스 (서울교육정책, 기획뉴스, 영상뉴스 등)
http://news.sen.go.kr/rss/rss2.0.html?type=eduN

언론보도 (보도자료, 오늘의 교육뉴스 등)
http://news.sen.go.kr/rss/rss2.0.html?type=press

현장소식 (지역교육청, 직속기관, 학교소식 등)
http://news.sen.go.kr/rss/rss2.0.html?type=spotN

교육정보 (진학/진로, 성격/정서, 좋은학부모 되기, 공부비법, 문화/강좌 등)
http://news.sen.go.kr/rss/rss2.0.html?type=eduI

학교혁신 (혁신 우수사례, 우리선생님, 명예기자클럽 등)
http://news.sen.go.kr/rss/rss2.0.html?type=eduR

UCC 동영상
http://news.sen.go.kr/rss/rss2.0.html?type=ucc 

RSS란?
RSS란 Rich Site Summary 또는 Really Simple Syndication의 약자로 신문이나 블로그, 쇼핑, 날씨 등과 같이 자주 업데이트 되는 정보를 해당 웹페이지에 방문하지 않고도 손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제공하기 위해 XML 형식으로 만들어신 문서 형식입니다.



[2007-02-06, 21:35:59]

Posted by 하루나기™
:
출처 :: 교육청

5개 공공도서관 개관시간 11시까지 연장
정독·송파·강서·도봉도서관 및 마포평생학습관

서울특별시교육청(교육감 공정택)에서는 2월 1일부터 주간에 도서관을 이용하기 어려운 학생, 직장인 등 시민을 위하여 야간 이용이 가능하도록 개관시간 연장 운영 서비스를 실시한다고 밝혔다.

이는 최근 시민들의 라이프스타일이 심야 시간으로 점차 확대 되어가고 있으며, 야간에 개인학습 및 정보자료 이용을 원하는 시민들의 수요를 예측하여 한걸음 더 가까이 다가가는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사업시행기관은 서울시교육청이 운영하고 있는 21개 공공도서관 중에서 지역의 봉사대상인구수, 기관규모, 자료대출권수 등과 권역별 안배를 통하여 사업 기대효과가 높을 것으로 예상되는 5개 기관, 즉, 정독도서관, 송파도서관, 마포평생학습관, 강서도서관, 도봉도서관이 선정되었다.

지역대표 도서관인 정독도서관에서는 2006년 11월부터 개관시간 연장운영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었으며, 이용자들의 호응도가 좋아 시범 운영 기관을 5개 기관으로 확대한 것이다.
 
이들 도서관에서는 현재 20시까지 운영하고 있는 자료실을 22시까지, 그리고 22시까지 운영하고 있는 일반열람실은 23시까지 연장·운영하여 자료이용자 및 개인 학습자의 편의를 도모할 예정이다.

특히, 송파도서관에서는 평소 문화생활을 누리기 어려운 학생, 직장인 뿐 아니라 소외계층을 위해서도 다양한 문화 프로그램을 기획·제공하여 지역주민의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할 수 있는 기회를 대폭 확대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개관시간 연장운영은 구직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서울 시민들을 위한 일자리도 마련하고 있어 청·장년들의 사회참여 및 경제 활성화에도 기여할 예정이다.

서울특별시교육감은 공공도서관 이용자를 위하여 앞으로도 이러한 지속적인 서비스 제공으로 시민을 위한 지식·문화향유 공간으로 거듭날 수 있도록 노력할 것임을 약속하였다.

【개관시간 연장 시범 운영 기관】





[2007-02-01, 10:33:12]

Posted by 하루나기™
:
즐겨 보는 프로그램 중 하나가 『Old&New』이다.
우리말에 대해 웃음과 교양을 두루 갖춘 방송으로, 어른들은 아는데 청소년들은 모르는 단어, 청소년들을 사용하지만 어른들은 모르는 단어, 잘못 사용하고 있는 단어 등을 재밌게 풀어 나가는 방송이라 부담없이 웃으면서 몰랐던 부분도 알 수 있어 유익한 방송이라 생각한다.

최근에 본 것 중에서 나도 잘못 알고 있던 단어가 있어 이렇게 글로 남긴다.

인터넷에서도 쉽게 접하고, 많은 사람들이 사용하고 있는 단어인데, 잘못 쓰고 있는 단어가 있다.

"괜히 엄한 사람 가지고 트집이네."
"이거 정말 엄하네."
"엄하게도 내가 걸렸네."


생각나는 대로 예문을 적어 봤는데, 실제 사용은 이보다 더 광범위한 것 같다. 그러나 우리가 자주 쓰고 있는 '엄한, 엄하다, 엄하게' 등의 단어들은 우리말 '애먼'을 잘못 사용한 예이다.

엄한 (嚴寒) 「명」매우 심한 추위. ≒기한01(祁寒)˙대한05(大寒)〔2〕˙융한. 「비」 한추위.


애먼 [애ː-] 「관」「1」일의 결과가 다른 데로 돌아가 억울하게 느껴지는. ¶애먼 사람에게 누명을 씌우다/애먼 징역을 살다/정작 죄진 놈들은 도망친 다음이라 애먼 사람들이 얻어맞고 나동그라졌다.≪송기숙, 암태도≫§ 「2」일의 결과가 다른 데로 돌아가 엉뚱하게 느껴지는. ¶애먼 짓 하지 마라./해야 할 일은 제쳐 놓고 애먼 일을 붙들고 있다. §


위를 보면 알겠지만, '애먼'은 관형사이다. 관형사란 명사를 꾸며주는 역할을 하는 단어이다.

우리는 관형사를 부사나 동사처럼 사용해 왔는데, 그렇다면 혹시 따로 동사나 부사가 있는 것은 아닐까 생각하여 찾아봤지만, 그런 용례는 없다.

엄 (嚴) '엄하다'의 어근.
엄-하다 「형」「1」규율이나 규칙을 적용하거나 예절을 가르치는 것이 매우 철저하고 바르다. ≒엄려하다〔1〕. ¶군대는 계급의 상하 구별이 엄하다./그 집은 예의범절이 엄해서 아이들이 얌전하다./선생님은 그의 무례함을 엄하게 꾸짖었다./그 학교는 학칙이 엄하다는 소문이 자자했다./청백리로 소문난 집안이어서 그런지 가풍이 엄하고 딱딱한 느낌을 받았습니다.≪박경리, 토지≫ §「2」어떤 일이나 행동이 잘못되지 아니하도록 주의를 단단히 하여 두다. ¶다시는 싸움을 하지 말라고 아이들에게 엄하게 일러두어라./수상한 사람이 들어오지 못하도록 하라는 상부의 엄한 지시입니다./내금위에게 영을 내리어 내전 경호를 엄하게 하라고 일러라.≪박종화, 다정불심≫ §「3」성격이나 행동이 철저하고 까다롭다. ≒엄려하다〔2〕. ¶며느리에게 엄한 시어머니/사람이 매사에 너무 엄하면 사람들이 잘 따르지 않는 법이다./성정이 속으로 강직하면서도 거죽으로 부드럽고, 기상이 엄하고 씩씩하면서도 화한 가운데 사람을 사랑할 줄을 알았다.≪박종화, 임진왜란≫ §
엄-히 「부」「1」=>엄하다〔1〕. ¶자식을 엄히 가르치다/마을마다 주막의 벽에 붙은 방에는 차후로는 매년 꼬박꼬박 경선궁에 도지를 내야 하며 만일 이에 불복하면 국법으로 엄히 다스리겠다고 경고하고 있었다.≪문순태, 타오르는 강≫/아무리 도둑을 잡아 엄히 처벌해도 문단속이 허술하면 또 다른 도둑이 들 것이다.≪이문열, 시대와의 불화≫ §「2」=>엄하다〔2〕. ¶다시는 도둑질을 하지 말라고 엄히 이르다/아침나절은 물론 해 넘어간 후에는 절대로 집 밖으로 물을 못 길어 가게 엄히 단속했다.≪박완서, 미망≫ §


위를 보면 알겠지만, 우리는 '엄하다'를 지금껏 잘못 써온 셈이다.
예문을 원래 뜻대로 해석해 보면,
"괜히 엄한 사람 가지고 트집이네."
'괜히 매우 철처하고 바른 사람에게 트집이다' 정도의 뜻이랄까?


지금까지 모르고 사용해 온 것을 누가 뭐라 할 수는 없겠지만, 이제 알았다면 올바로 사용하는 것이 좋지 않을까? ^^
Posted by 하루나기™
:
2005년 7회차 문제 (11번부터 20번)

11. 다음 중 날을 헤아리는 명칭의 짝이 잘못 연결된 것은?
1) 사흘 - 3일
2) 엿새 - 6일
3) 이레 - 7일
4) 아흐레 - 8일


12. 다음 중 밑줄 친 부분의 표기가 틀린 것은?
1) 햇볕이 쨍쨍 내리쬐는 오후.
2) 그 선수는 강한 스파이크로 공을 코트에 내리꽂았다.
3) 그녀는 갑작스러운 비명에 놀라 들고 있던 접시를 식탁에 내리뜨렸다.
4) 그는 눈을 내리깔고 깊은 생각에 잠겼다.


13. 다음에 제시된 ‘좀’의 예 중에서 ‘조금’으로 바꾸어 쓸 수 없는 것은?
1) 둘이 그렇게 사이좋게 지내니 좋으냐?
2) 늦었습니다.
3) 물건 값이 비싸다.
4) 잠을 자고 나니 기분이 좋아졌다.


14. 다음은 의미가 같은 한자 성구와 속담을 연결한 것이다. 잘못 연결된 것은?
1) 화무십일홍(花無十日紅) - 열흘 붉은 꽃 없다
2) 화중지병(畵中之餠) - 그림의 떡
3) 감탄고토(甘呑苦吐) - 꿀도 약이라면 쓰다
4) 적반하장(賊反荷杖) - 도둑이 매를 든다


15. 다음 중 같은 병을 달리 부르는 이름끼리 짝을 잘못 지은 것은?
1) 마마 - 천연두
2) 학질 - 말라리아
3) 염병 - 장티푸스
4) 흑사병 - 콜레라


16. 다음 중 밑줄 친 부분이 단어가 아닌 것은?
1) 국장 과장
2) 아이의 외침
3) 마음대로 해라.
4) 승리는 우리 것이다.


17. 다음 밑줄 친 부분이 문장에 홀로 나타날 수 있는 것은?
1) 소 두 마리
2) 하늘이 푸르다.
3) 그녀는 예쁘다.
4) 선생님 두 이 우리 마을에 오셨다.


18. 다음 밑줄 친 부분 중 문장에서의 기능이 다른 것은?
1) 내일이 쉬는 날이다.
2) 노래는 기영이가 잘 한다.
3) 아이들이 운동장에서 논다.
4) 는 익을수록 고개를 숙인다.


19. 학교 문법에서 국어의 품사는 모두 몇 개인가?
1) 5개 2) 7개 3) 9개 4) 11개


20. 다음 중 그 성격이 나머지와 다른 어미는?
1) 평서형 어미 ‘-다’
2) 감탄형 어미 ‘-구나’
3) 명사형 어미 ‘-(으)ㅁ’
4) 명령형 어미 ‘-어라/아라’


:: 나오며
한글을 대하면서 느끼는 것은 '어렵다'는 것이다. 왜 어렵다고 느낄까? 어쩌면 오랜 시간 잘못된 사용에 너무 물들어 있었던 것은 아닐까 생각해 본다. 시간을 내서 영어를 공부해야만 하는 사회가 조금은 화가 나기도 한다.
Posted by 하루나기™
:
:: 들어가기에 앞서
문화관광부의 소속 기관인 국립국어원에서 '우리말 우리글 바로 쓰기' 운동의 하나로 운영해 오고 있는 '우리말 실력 알아보기'입니다.

2005년 7회차 문제 (1번부터 10번)

1. 다음 중 표기가 잘못된 것은?
1) 나뭇꾼 2) 낚시꾼 3) 심부름꾼 4) 농사꾼


2. <보기>는 사이시옷이 쓰인 예들이다. 잘못 설명한 것은?(*은 옳지 않은 말)
<보기> 인사말/*인삿말, 피자집/*피잣집(pizza-), 내과/*냇과(內科)

1) ‘인사말’은 소리가 [인사말]로 나는군.
2) 외래어 다음에는 사이시옷을 넣지 않아.
3) ‘내과’에 사이시옷이 없으니 발음이 [내과]로군.
4) 한자어 사이에도 사이시옷을 넣지 않는 원칙이 있군.


3. <보기>는 명령을 나타내는 어미 ‘-어라/아라’와 ‘-으라’의 결합을 보인 것이다. 밑줄 친 예 중에서 어미가 다른 하나는?
<보기> 먹-+-어라→먹어라, 먹-+-으라→먹으라

1) 옳은 답을 골라라.
2) 이제는 착한 사람이 돼라.
3) 시험지에 자기 이름을 써라.
4) 종이를 가위로 정확하게 자르라.


4. ‘눈살’은 [눈쌀]로 소리가 나지만 ‘눈살’로 적는다. 가장 적절한 설명은?
1) 예외적인 표기이다.
2) ‘살’이 자립적으로 쓰이기 때문이다.
3) 한글은 소리와는 다르게 적을 수 있기 때문이다.
4) ‘눈’ 뒤에 오는 말은 된소리를 적지 않기 때문이다.


5. <보기>처럼 ‘-대’는 ‘-다고 해’에서 줄어든 말이다. 옳지 않은 설명은?
<보기> 철수는 집에 갔대(←갔다고 해)

1) 전해 들었다는 뜻이 있다.
2) ‘대’를 ‘데’로 바꾸어 쓸 수는 없다.
3) 말하는 이가 직접 경험한 사실을 말한다.
4) ‘-대’의 ‘ㅐ’는 ‘해’의 ‘ㅐ’와 관련이 있다.


6. 다음 단어들은 모두 두 단어가 결합하여 이루어진 말이다. 두 단어가 이어지면서 그 사이에 [ㄴ] 발음이 들어가지 않는 것은?
1) 색연필 2) 남존여비 3) 막일 4) 금요일


7. 다음 단어에는 모두 ‘ㅢ’ 모음이 들어가 있다. 이 중에서 ‘ㅢ’ 모음의 발음이 다르게 나는 것은?
1) 의사 2) 늴리리 3) 경희 4) 무늬


8. 다음 문장의 빈칸에 가장 알맞은 말은?
창턱에 기대어 앉아……가장 정숙한 듯이, 가장 부끄러운 듯이 꾸미는 을라의 ( ) 하얀 얼굴을 머릿속에 그려 보았다.《염상섭, 만세전》

1) 글뛴 2) 팔초한 3) 가스러진 4) 사박스러운


9. 다음 문장을 완성하려고 할 때에 괄호 안에 들어가기에 적합하지 않은 것은?
논 서 마지기가 그대로 넘어가고 말 판이었다. 그러면 숫제 알거지가 되어 여덟 식구가 ( ) 쪽박을 찰 수밖에 없었다.《송기숙, 녹두 장군》

1) 하릴없이 2) 어쩔 수 없이 3) 별수 없이 4) 가뭇없이


10. 다음 중 의미가 한 가지로만 해석될 수 있는 문장은?
1) 철수는 강아지와 달리는 것을 좋아한다.
2) 철수는 자신의 작품에 집착이 강한 영희를 만났다.
3) 어머니는 환하게 웃으며 달려오는 아이를 맞이했다.
4) 땀을 흘리는 철수에게 영희는 수건을 건넸다.


11번부터 20번까지는 다음 포스팅으로!!
Posted by 하루나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