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말 실력 알아보기(2005년 7회차 11~20)
국어|교육/국어와 교육 2005. 10. 17. 19:08 |2005년 7회차 문제 (11번부터 20번)
11. 다음 중 날을 헤아리는 명칭의 짝이 잘못 연결된 것은?
1) 사흘 - 3일
2) 엿새 - 6일
3) 이레 - 7일
4) 아흐레 - 8일
12. 다음 중 밑줄 친 부분의 표기가 틀린 것은?
1) 햇볕이 쨍쨍 내리쬐는 오후.
2) 그 선수는 강한 스파이크로 공을 코트에 내리꽂았다.
3) 그녀는 갑작스러운 비명에 놀라 들고 있던 접시를 식탁에 내리뜨렸다.
4) 그는 눈을 내리깔고 깊은 생각에 잠겼다.
13. 다음에 제시된 ‘좀’의 예 중에서 ‘조금’으로 바꾸어 쓸 수 없는 것은?
1) 둘이 그렇게 사이좋게 지내니 좀 좋으냐?
2) 좀 늦었습니다.
3) 물건 값이 좀 비싸다.
4) 잠을 자고 나니 기분이 좀 좋아졌다.
14. 다음은 의미가 같은 한자 성구와 속담을 연결한 것이다. 잘못 연결된 것은?
1) 화무십일홍(花無十日紅) - 열흘 붉은 꽃 없다
2) 화중지병(畵中之餠) - 그림의 떡
3) 감탄고토(甘呑苦吐) - 꿀도 약이라면 쓰다
4) 적반하장(賊反荷杖) - 도둑이 매를 든다
15. 다음 중 같은 병을 달리 부르는 이름끼리 짝을 잘못 지은 것은?
1) 마마 - 천연두
2) 학질 - 말라리아
3) 염병 - 장티푸스
4) 흑사병 - 콜레라
16. 다음 중 밑줄 친 부분이 단어가 아닌 것은?
1) 국장 겸 과장
2) 아이들의 외침
3) 마음대로 해라.
4) 승리는 우리 것이다.
17. 다음 밑줄 친 부분이 문장에 홀로 나타날 수 있는 것은?
1) 소 두 마리
2) 하늘이 푸르다.
3) 그녀는 예쁘다.
4) 선생님 두 분이 우리 마을에 오셨다.
18. 다음 밑줄 친 부분 중 문장에서의 기능이 다른 것은?
1) 내일이 쉬는 날이다.
2) 노래는 기영이가 잘 한다.
3) 아이들이 운동장에서 논다.
4) 벼는 익을수록 고개를 숙인다.
19. 학교 문법에서 국어의 품사는 모두 몇 개인가?
1) 5개 2) 7개 3) 9개 4) 11개
20. 다음 중 그 성격이 나머지와 다른 어미는?
1) 평서형 어미 ‘-다’
2) 감탄형 어미 ‘-구나’
3) 명사형 어미 ‘-(으)ㅁ’
4) 명령형 어미 ‘-어라/아라’
11. 다음 중 날을 헤아리는 명칭의 짝이 잘못 연결된 것은?
1) 사흘 - 3일
2) 엿새 - 6일
3) 이레 - 7일
4) 아흐레 - 8일
12. 다음 중 밑줄 친 부분의 표기가 틀린 것은?
1) 햇볕이 쨍쨍 내리쬐는 오후.
2) 그 선수는 강한 스파이크로 공을 코트에 내리꽂았다.
3) 그녀는 갑작스러운 비명에 놀라 들고 있던 접시를 식탁에 내리뜨렸다.
4) 그는 눈을 내리깔고 깊은 생각에 잠겼다.
13. 다음에 제시된 ‘좀’의 예 중에서 ‘조금’으로 바꾸어 쓸 수 없는 것은?
1) 둘이 그렇게 사이좋게 지내니 좀 좋으냐?
2) 좀 늦었습니다.
3) 물건 값이 좀 비싸다.
4) 잠을 자고 나니 기분이 좀 좋아졌다.
14. 다음은 의미가 같은 한자 성구와 속담을 연결한 것이다. 잘못 연결된 것은?
1) 화무십일홍(花無十日紅) - 열흘 붉은 꽃 없다
2) 화중지병(畵中之餠) - 그림의 떡
3) 감탄고토(甘呑苦吐) - 꿀도 약이라면 쓰다
4) 적반하장(賊反荷杖) - 도둑이 매를 든다
15. 다음 중 같은 병을 달리 부르는 이름끼리 짝을 잘못 지은 것은?
1) 마마 - 천연두
2) 학질 - 말라리아
3) 염병 - 장티푸스
4) 흑사병 - 콜레라
16. 다음 중 밑줄 친 부분이 단어가 아닌 것은?
1) 국장 겸 과장
2) 아이들의 외침
3) 마음대로 해라.
4) 승리는 우리 것이다.
17. 다음 밑줄 친 부분이 문장에 홀로 나타날 수 있는 것은?
1) 소 두 마리
2) 하늘이 푸르다.
3) 그녀는 예쁘다.
4) 선생님 두 분이 우리 마을에 오셨다.
18. 다음 밑줄 친 부분 중 문장에서의 기능이 다른 것은?
1) 내일이 쉬는 날이다.
2) 노래는 기영이가 잘 한다.
3) 아이들이 운동장에서 논다.
4) 벼는 익을수록 고개를 숙인다.
19. 학교 문법에서 국어의 품사는 모두 몇 개인가?
1) 5개 2) 7개 3) 9개 4) 11개
20. 다음 중 그 성격이 나머지와 다른 어미는?
1) 평서형 어미 ‘-다’
2) 감탄형 어미 ‘-구나’
3) 명사형 어미 ‘-(으)ㅁ’
4) 명령형 어미 ‘-어라/아라’
:: 나오며
한글을 대하면서 느끼는 것은 '어렵다'는 것이다. 왜 어렵다고 느낄까? 어쩌면 오랜 시간 잘못된 사용에 너무 물들어 있었던 것은 아닐까 생각해 본다. 시간을 내서 영어를 공부해야만 하는 사회가 조금은 화가 나기도 한다.
한글을 대하면서 느끼는 것은 '어렵다'는 것이다. 왜 어렵다고 느낄까? 어쩌면 오랜 시간 잘못된 사용에 너무 물들어 있었던 것은 아닐까 생각해 본다. 시간을 내서 영어를 공부해야만 하는 사회가 조금은 화가 나기도 한다.
'국어|교육 > 국어와 교육'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리퍼 무조건 오천원'에 대한 단상(短想) (0) | 2007.04.09 |
---|---|
e서울교육소식 RSS 서비스 제공 (0) | 2007.03.12 |
5개 공공도서관 개관시간 11시까지 연장 (4) | 2007.03.12 |
'엄한'과 '애먼' (0) | 2006.04.23 |
우리말 실력 알아보기(2005년 7회차 1~10) (0) | 2005.10.17 |